본문 바로가기

지도 교수님 소개/서용원 교수님

서용원, 오동근 (1998) 발언의 도구성 , 배려성 , 및 주체와 공정성 지각

서용원, 오동근 (1998)

발언의 도구성 , 배려성 , 및 주체와 공정성 지각 ( Effects of Instrumentality , Consideredness , and Agency of Voice on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 지각의 주요 변인인 발언효과에 대한 도구적 관점과 비도구적 관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구적 관점에 의하면 발언이 자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에만 발언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비도구적 관점에서는 발언내용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청취자가 자신의 발언에 대해 배려적이라고 지각하게 되면 발언효과가 나타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거의 연구들과는 달리, 발언을 발언자의 유형에 따라 자기발언(self-voice)과 대리발언(vicarious-voice)으로 구분하고, 청취자의 유형에 따라 직접발언(direct-voice)과 간접발언(indirect-voice)으로 구분한 후, 직접발언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발언의 주체(2수준: 자기발언, 대리발언)×발언의 도구성(2수준: 도구적, 비도구적)×발언의 배려성(2수준: 배려, 비배려)의 세 변인 모두가 피험자간 변인인 삼원 완전무선 요인설계이며, 여기에 대리발언 효과와 비도구적 효과 및 비배려 효과를 검중하기 위한 비교집단으로서 아무런 처치도 주어지지 않은 채 과제만 수행하는 통제집단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도구적인 조건에서 뿐 아니라, 비도구적인 조건에서도 피험자의 발언에 대해 청취자가 배려적인 경우에는 발언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세 변인간 삼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도구적 배려효과를 밝히고자 한 과거의 연구들이 피험자들에게서 도구성을 완전히 배제시키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직접 발언을 사용함으로써 도구성을 완전히 배제시킨 상황에서 비도구적 배려효과를 검증했으며, 조직 장면에서 널리 활용 되는 대리발언의 효과를 처음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instrumental and noninstrumental voice enhance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The instrumental explanation proposes that the opportunity to excercise voice over procedures enhances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because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a favorable outcome. In contrast, the noninstrumental explanation asserts that voice effects work irrespective of its influence on outcomes because the opportunity to speak one`s view has symbolic value in itself.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test noninstrumenal hypothesis have failed because they were not successful at manipulating noninstumentality of the voice. Unlike them, the present study distinguished between direct-voice and indirect voice, and manipulated direct-voice. A 2(agency of voice: self-voice and vicarious-voice) × 2(instrumentality of voice: instrumental and noninstrumental) × 2(consideredness of voice: considered and nonconsidered)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control (no-voice) condition. Results showed noninstrumental voice effects as well as instrumental effects, and the noninstumental effect was shown only in conjuction with considered voice. Thu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indicating noninstrumental voice effects and vicarious voice effects which could be utilized a lot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지도 교수님 소개 > 서용원 교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용원 교수님 2017년 서울신문 칼럼  (0) 2019.03.08
서용원 교수님 저서  (0) 2010.02.03
서용원 교수님  (0) 2009.10.29